728x90
반응형

Zlatan Ibrahimovic’s pursuit of personal capital reaches new level | Zlatan Ibrahimovic | The Guardian

지난 포스팅에서 이어서...

Zlatan Ibrahimovic’s pursuit of personal capital reaches new level | Jonathan Liew

The biggest compliment you can pay the veteran Milan striker is that sometimes he is almost as good as he says he is

www.theguardian.com

 

 (번역) 즐라탄의 개인적 자본 추구는 새로운 경지에 다다랐다

Guardian, Jonathan Liew / (의역 및 오역이 다수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는 '자신이 잘 하는 것에 집중해야 한다'고 했는데, 아마 자기 자신에게 해야 할 말이 아닌가 싶다. 즐라탄은 현대 축구 최고의 선수들 중에서도 유별난 구석이 있는데, 이는 그의 필드 위 업적보다도 그의 입에서 나오는 에피소드들 때문인 부분이 있다. 아마 축구선수 즐라탄에게 할 수 있는 최고의 칭찬은 그가 그 자신을 평가하는 것만큼이나 훌륭한 선수였던 시절이 있었다는 말일 것이다. 17년 전 아약스 시절의 그 유명한 단독 돌파 득점이나, 잉글랜드와의 친선경기에서 라이언 쇼크로스를 압도했던 것, LA 갤럭시 데뷔전에서 빈 골대에 넣은 골. 모두 잊지 못할 찬란한 기억들이다. 그뿐이다. 그가 자신이 잘 하는 것에서 주제넘게 벗어나지 않으려고 하는 데 진심이라면, 아마도 그 분야는 축구 대신 자신이 독보적인 분야인 '3인칭으로 자화자찬하기'가 아닐까. 

즐라탄은 최근 인터뷰에서 르브론 제임스에 관한 질문을 받자 "저는 그 정도 위치에 있는 사람이 정치 얘기를 하는 건 싫어요. 잘 하는 것이나 집중해야죠. 저는 축구를 가장 잘 하기 때문에 축구를 하고, 정치인은 아니거든요. 제가 정치인이라면 정치를 하고 있겠죠."라고 답변했다.

즐라탄의 말은 최소한의 어떤 검토도 없는 것처럼 들리기도 한다. 스포츠와 정치는 처음부터 서로 얽혀 있는 관계였다. 초창기 스포츠는 통제의 수단이었고, 변화의 동력이었으며, 권력의 표출이자 저항의 표현이기도 했다. 마커스 래시포드, 콜린 캐퍼닉, 오사카 나오미, 르브론 제임스까지, '운동선수이자 활동가'인 이들의 존재감은 그 어느 때보다 우리 문화에 뿌리내리고 있다.

우리 모두 아는 얘기다. 즐라탄 역시 그렇다. 그는 역대 운동선수 중 가장 좋아하는 이로 무하마드 알리를 꼽으며 "그가 링 안팎에서 한 일들"을 이유로 들었다. 어쩌면 이 역시 즐라탄이 '선동가'이자 '명언 제조기', '또라이들의 또라이'(...)로 자신을 브랜딩하는 것일지 모른다. 행간을 읽어내자면, 대상과 타이밍이 우연이 아닌 것 같은 그의 말들에서 아마 어떤 근원적인 욕망을 엿볼 수도 있겠다.

그래서, 즐라탄은 왜 이런 입장에 섰을까? 하필이면 왜 지금일까? 첫 질문은 아마 답하기 쉬울 것 같다. 말뫼에서의 유년기로 시작되는 "즐라탄 신화"는 힘과 명성, 부 등 개인의 자본을 추구한 이야기다. 그가 유럽 축구계에서 입지전적인 커리어를 쌓으며 만들어온 세계관은 "자신을 믿는다면 해낼 수 있다", "모든 게 나 하기 달렸다"같은 '강한 자기확신과 노력을 통해 자신의 운명을 개척한 유일한 '사나이'의 그것'이다.

그래서 그의 원더골들이나, 여자 선수들에 비해 남자 선수들이 더 많은 관심을 받는 게 당연하다고 했던 말이나, 경기 중 상대 선수를 때린 것, 만 서른아홉의 나이에도 뛰고 있는 것, 이 모든 것이 개인이 자신이 원히는 것은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그의 강한 신념에서 왔다고 할 수 있다. 그가 PSG에서 뛸 당시, 그는 그가 받던 25만 유로의 고액 주급에 대해 "시장에서 결정하는 것"이라며 오히려 프랑스가 고소득자들에게 세금을 많이 부과하는 것에 불만을 드러내기도 했다. 그러면서 구단주인 카타르 왕실의 도덕적인 문제엔 별 관심 없다고 했다. ("(카타르엔) 서너 번 가 봤는데 꽤 좋더라"라고 덧붙였다.) 우리는 그의 발언들에서 읽어낼 수 있는 것을 자유지상주의, 개인의 책임을 신성시하는 믿음, 혹은 소외감을 느끼는 십 대 소년들에게 보내는 메시지라고 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그것은 좋든 싫든 간에 태생이 정치적이다. 즐라탄이 쌓아 온 그의 서사, 그의 세계관과는 반대로, 흑인 인권을 위한 운동은 전세계적이고 광범위한 사회 운동으로 승패의 서사가 뚜렷한 성질의 것이 아니다. 그가 이러한 대의에 반동적인 사람이라는 얘기를 하려는 것은 아니지만 이 운동들은 즐라탄이 모든 것을 정복하는 승자, 주인공이 되는 그런 종류의 이야기가 아니라는 것이다. 

전세계적인 기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목소리를 내 왔고, 그 자신이 유년기에 인종차별 피해를 겪은 즐라탄은 이 논의에 참여하고, 다른 사람들과 연대해 좀 더 큰 역할을 할 수도 있었다. 하지만 그렇게 하는 것은 그에게 자신보다 좀 더 중요하고 큰 무언가의 일부가 되는 것을 요구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가 그 자신보다 큰 무엇이 존재한다고 받아들일 지는 분명하지 않다. 


즐라탄의 나이가 마흔에 가까워짐과 함께, 새로운 영웅들이 등장하고 있다. 지역 라이벌 팀 인테르의 로멜루 루카쿠는 자신이 밀라노의 새로운 왕이라고 선언하기도 했다. 게임과 룰이 변했다. 스타 운동선수들에게 우리가 기대하는 모습 역시 바뀌었다. 이제 전 세계적으로 운동선수들은 자신의 영향력을 활용해 세상의 불의한 일들에 사람들이 주목하게 만들고, 변화를 지지하며, 그것을 통해 대단한 명성을 얻고 존경받는다. 이브라히모비치가 그토록 갈망하는, 광범위하게 범접할 수 없는 크기의 유산을 남기는 '위대함'의 조건이 달라졌다는 얘기다. 


아마 그래서 즐라탄이 르브론이나 스테판 커리 같은, 운동선수이자 활동가인 사람들을 본다면 그 역시 그가 가지 않은 길, 그로 인해  따뜻한 마음과 그에 따르는 찬사들을 즐라탄이 아닌 르브론이나 커리 같은 선수들이 받고 있는 것으로부터 느끼는 바가 있을 것이다. 그것은 바로 즐라탄이 경기장 안에서 공과 함께 이뤄낸 업적만으로는 절대 닿을 수 없는 위대함이다.


즐라탄과 르브론은 비록 한 종목에서 최고 레벨에 다다른 슈퍼스타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서로 다른 배경에서 살아왔고, 이는 아마 그들이 각각 자신이 속한 사회와 세계를 바라보는 방식에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 이 글에서 즐라탄의 세계관과 그 서사구조를 짚은 것이 그런 맥락에서라고 생각한다. 다소 도발적으로 들리지만 설득력 있는 설명이다.

자의식이 비대한 독특한 캐릭터의 영웅이 그의 세계관과 서사구조가 맞아떨어지지 않는 상황을 만나 불화하는 것까지도 참 즐라탄답다는 생각이 문득 든다. 그가 그동안 쌓아온 이미지를 감안할 때 그가 이번에 비판한 제임스와 같은 맥락에서 존경받는 영웅이 될 것을 기대하지는 않았고, 운동선수이자 활동가로서 영웅이 된 다른 선수들에게 딱히 좋은 감정을 갖지 않는 것은 알겠는데... 최근 그의 언행은 그답지 않게 쿨하지 못하다. 그것은 쿨한 것이 아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